동양화 특징이 여섯가지인가 한참 생각하다가

검색을 해보았는데 다섯가지네요

혹시 오타나신건 아니실런지요 ^^;

 

아래 동양화의 특징 적어드립니다.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

 

 

 

 

★ 선적인 표현이다.

 

선의 강약 - 선의 강약에 의해 작가의 감정, 개성, 화면의 생동감

                  까지도 표현할수 있다.

 

 

★ 여백의 미를 표현한다.

 

- 여백은 미완성의 덜 그려진 공간이 아니라,

   자유로운 해방감과 여유있는 멋을 상징한다.

 

 

★ 먹색의 아름다움을 표현한다.

 

먹색의 농담 - 먹색의 진하기에 따라 삼묵법(농묵, 중묵, 담묵)으로

                     나뉘며 부드러운 화면을 표현한다.

 

 

★ 정적ㆍ정신적 표현이다.

 

- 화면의 기품과 운치를 존중하고 정신세계의 표현을 소중하게 다룬다.

 

 

★ 평면적ㆍ상징적 표현이다.

 

- 물체 자체의 양감, 질감 등에 치우치지 않고 명암을 거의 그리지 않으며,

   물체가 지닌 존재에 주의하여 그린다.

 

 

출처 : 한국화를 사랑하는 사람들
글쓴이 : 정산 백현호 원글보기
메모 :

                                           조용필  노래 듣기                

 

1.세월이가면                        2.창밖의여자                     3.그겨울의찻집  

4.잊기로했네                        5.잊혀진사랑                     6.단발머리

7.슬픈미소                          8.가지말라고                     9.너무짧아요     

10.내이름은구름이여              11.내마음당신곁으로            12.님이여        

13.친구여                           14.마도요                         15.허 공    

16.꿈                                17.정                               18.촛 불

19.물망초                           20.산장의여인                    21.고추잠자리             

22.미워미워미워                   23.못찾겠다꾀꼬리               24.일편단심민들레야 

25.길잃은철새                      26.바람이전하는말               27.돌아오지않는강

28.어제오늘그리고                 29.난아니야                       30.오빠생각       

31.따오기                           32.간양록                          33.한오백년

34.강원도아리랑                   35.그대발길이머무는곳에        36.그대향기는흩날리고

37.사랑은아직끝나지않았네      38.킬리만자로의표범             39.돌아와요부산항에 

40.그대숨결속에서                 41.그리움의불꽃                  42.기다리는아픔 

43.나는너좋아                      44.꽃바람                          45.꽃이되고싶어라

46.꿈의아리랑                      47.나그네바람                     48.남겨진자의고독   

49.내가슴에내리는비              50.내모습                          51.내입술에그대눈물   

52.슬픈뻬아뜨리체                 53.청춘의빈잔                     54.눈물의파티

55.눈물로보이는그대              56.눈이오면보고싶다              57.도시를떠나서  

58.여행을떠나요                   59.돌고도는인생                   60.무정유정 

61.비련                              62.들꽃                             63.고궁    

64.떠나가는배                      65.뜻밖의이별                     66.만나게해주    

67.미지의세계                      68.바람과 갈대                    69.바람의노래  

70.벌써잊었나                      71.보라빛여인                     72.비오는거리

73.사랑의만가                      74.사랑의연가                     75.사랑의자장가

76.사랑하기때문에                 77.사랑해요                       78.상처 

79.생명                             80.세월                             81.소망

82.선구자                           83.아이마미                       84.아하그렇지

85.애상                             86.얄미운님아                     87.어둠이끝나면

88.여와남                          89.영원속으로                      90.영혼은잠이들고

91.이별의인사                     92.타인92.일성(一聲)             93.진실한사랑

94.추억속의재회                  95.추억이잠든거리                 96.태양의눈     

97.청춘시대                       98.해바라기

                       

               

출처 : 청산도
글쓴이 : 777 원글보기
메모 :

이미자 노래


눈물의 연평도
(강남풍 작사 김부해 작곡)
 

조기를 담뿍 잡아 기폭을 올리고
온다던 그 배는 어이하여 아니오나
수평선 바라보며 그 이름 부르면
갈매기도 우는구나 눈물의 연평도

태풍이 원수드라 한 많은 사라호
황천간 그 님은 언제 다시 만나보리
해 저문 백사장에 그 모습 그리면
등댓불만 깜박이네 눈물의 연평도




우리만의 소리   

1. 고드름 낙수 소리
    2. 얼음장 밑으로 물 흐르는 소리
        3. 동굴 낙수 소리
              4. 여름 폭포 소리
                       5. 몽돌 파도에 휩쓸리는 소리
                             6. 대나무 부딪히는 소리
                                   7. 천둥 소리
                                       8. 장마 비바람 소리
                                          9. 우박 떨어지는 소리
                                              10. 가시연꽃밭의 폭우 소리

 11. 불어난 계곡물 쏟아져내리는 소리
       
12. 벼이삭 부딪히는 소리
               13. 낙엽 지는 소리
                       14. 싸리비로 낙엽 쓰는 소리
                             15. 낙엽 밟는 소리
                                  16. 바람에 낙엽 구르는 소리
                                        17. 억새 부딪히는 소리
                                             18. 갈대 부딪히는 소리
                                                  19. 눈보라 소리
                                                        20. 설피 신고 눈 밟는 소리
 21. 겨울 얼음장 깨지는 소리

  22. 할아버지 잔기침 소리
     23. 달집 태우는 소리
       24. 논두렁 태우는 소리
          25. 소울음 소리
           26. 소여물 먹는 소리
              27. 가마솥 끓는 소리
                28. 우시장 소울음 소리
                  29. 모내기하는 소리
                     30. 밭가는 소리

31. 장닭 우는 소리
  32. 산나물 캐는 소리
    33. 베틀짜는 소리
      34. 시골장터 소리
        35. 족타기로 벼 터는 소리 
          36. 탈곡기로 탈곡하는 소리
            37. 키질하는 소리
              38. 콩도리깨질 소리
                39. 콩깍지 타는 소리
                  40. 멧돌 가는 소리
41. 절구 찧는 소리
   42. 떡치는 소리
     43. 어시장 경매 소리
        44. 오징어 물 뿜는 소리
           45. 숭어잡이 소리
              46. 재첩 캐는 소리
                47. 꼬막 잡는 소리
                  48. 해녀 숨비 소리
                    49. 연평도 풍어제 소리

                  50. 에밀레 종소리

51. 보신각 종소리
       52. 가을 바람에 풍경 우는 소리
          53. 법고 소리
                        54. 목어 소리
                                 55. 운판 소리
                                          56. 범종 소리
                                                      57. 성당 종소리

                                    58. 학교종 소리
                                                59. 풍금 소리
                                                        60. 아이들 전통놀이 소리

                           61. 가을 운동회 소리
                                   62. 대장간 소리
                                        63. 참숯 익는 소리
                                               64. 노젓는 소리
                               65. 개울가 빨래 소리
                          66. 염전 수차 소리
                       67. 통방아 소리
                    68. 물레방아 소리
69. 디딜방아 소리
   70. 다듬이질 소리
     71. 마지막 비둘기호 정선선

        72. 괭이갈매기 우는 소리
            73. 가창 군무 소리
              74. 둥지 떠난 새끼 제비들의 소리
                         75. 딱따구리 나무구멍 파는 소리
76. 보리밭 종달새 우는 소리
   77. 백로 새끼 키우는 소리
     78. 소쩍새 우는 소리
       79. 둥지 떠난 꾀꼬리 새끼 어미찾는 소리
         80. 큰유리새 새끼 키우는 소리
           81. 삼광조 새끼 키우는 소리
             82. 붉은배새매 새끼 키우는 소리
               83. 파랑새 새끼 키우는 소리
                 84. 겨울 들판 두루미 구애하는 소리

               85. 참매미 우는 소리
             86. 쓰릅매미 우는 소리
            87. 애매미 짝 찾는 소리
          88. 왕소똥구리 경단 굴리는 소리
        89. 토종벌 일하는 소리
      90. 귀뚜라미 짝 찾는 소리
   

 91. 여치 우는 소리

92. 방울벌레 노래소리
           93. 베짱이 우는 소리
                    94. 긴꼬리 우는 소리
                 95. 누에 뽕잎 갉아먹는 소리
             96. 개구리 울음 소리
          97. 두꺼비 우는 소리
       98. 맹꽁이 울음 소리
     99. 섬진강 동자개 우는 소리
100. 남대천 연어 돌아오는 소

 


 

친구랑 단풍구경도 할겸 가창으로 산국을 채취하러갔다..

차를 몰고 깊은 산골로 들어가니 예쁜 단풍들과 시원한 가을바람 너무 넘 좋았다

싸가지고 온 깁밥과 컵라면 또 따스한 가을 햇살과 가을바람과 푸른가을 하늘과 바람에 살랑이는 예쁜 단풍들과 함께  

맛있게 점심을 먹고 산 언덕으로 피어 있는 국화가 너무 예쁘 따기가 미안했다.

친구 랑 이곳저곳 다니면서 제법 많이 땄다 친구는 차 만드는데 취미가 없다며 나를 다 주네..ㅋㅋ 고맙구로..

가지고 온 국화는 다시 한번 더 이물질이 있는지 확인 하면서 다듬었다

 

 

 

그리고 흐르는 물에 두어번 정도 씻어 소쿠리에 건저 물기를 빠지게 했다

 

큰남비에 아껴쓰는 죽염을 넣고 팔팔끓인다..소금은 간간할정도로

 

팔팔끓으면 국화를 넣고 데친다 시간은 1~2분이내 데친다

 

그리고 재빨리 찬물에 여러번 헹군다

 

 

 

 

 

소쿠리에 건져서 물기가 어느정도 빠지면 깨끗한 종이위에 올려 말린다

밑에는 여러겹의신문을 깔고 위에는 부엌티슈를 깔아도 좋습니다.

(나는 화선지를 전지로 2장 사용)

 

그리고 그늘에서 2~3일 말린다

 

 

그 다음에 한잔에 6~7송이 정도의 꽃을 사용하여 차를 우려마신다

 

국화차의 효능

- 머리가 맑아지고 건망증과 기억력 감퇴 예방.

- 눈이 침침하여 미열이 있을때 달여마시면 효과적.

- 신경을 많이 써 항상 머리가 무거운 정신 근로자, 학생, 눈을 혹사하는 사람이거나 두통
이 있는 분에게 특히 권할만함.

- 기침, 신경통 등에도 유용하고 피부를 아름답게하는 성분과 풍열을 없애고 해독작용을 함. 

은은한 국화향과 찻잔안에서 이쁘게 펴지는 국화꽃이 마음을 편안하게 한답니다.

많이 드시지 마시고 하루 한두잔이 딱 좋은거 같아요.

장재인 가로수그늘아래서면 vs 존박 빗속에서

 

 

 

 

 

 

 

존박, 장재인, 박보람등 출연자들이 아이돌 못지않게 관심을 받으며

슈퍼스타 K2가 케이블프로로는 최초로 시청률 12%를 기록하며 화제가 되고있습니다.

특히 슈퍼스타 K2 본선 경선자 11명이 가려진 후 첫번째로 3명의 탈락자가 나오면서

경합이 한층 치열해지고 있죠.

 

 

 

 

 

 

2억원의 상금과 함께 플러스로 음반제작 및 다양한 혜택이 주어질 예정이라

더욱 화제를 몰고있는 MNet의 슈퍼스타 K2.

지난주 김그림, 이보람, 김소정 3인이 고배를 마시고

장재인,존박,허각,박보람등 8명으로 경선자가 압축된 이번주엔

참가자들에게 이문세씨의 곡을 리메이크해서 부르는 미션이 주어졌습니다.

이문세씨는 특별 심사위원의 자격으로 이번 슈퍼스타 K2 경선의 심사를 보기도 했는데요

 

먼저 실시된 슈퍼스타 K2의 온라인 집계투표에선 지난주와 마찬가지로

장재인이 2위인 존박과 거의 더블스코어차로 1위를 차지했습니다.

 

 

 

 

 

 

이문세씨의 곡 리메이크 미션에 참가한 8명의 선곡은 다음과 같았습니다.

'그녀의 웃음소리 뿐', '이별 이야기', '솔로예찬', '사랑이 지나가면', '조조할인',

'알수 없는 인생', '가로수 그늘 아래 서면'(장재인), '빗속에서'(존박) 등의 노래가 선택됐습니다.

이중 역시 슈퍼스타 K2 시청자들의 많은 관심을 받았던 후보자는 장재인과 존박이었죠.

특히 장재인과 존박은 경선 이틀전 이문세씨의 조언아래 원래의 선곡을 바꾸기도 했습니다.

 

 존박은 바꾼 노래 <빗속에서>가 음색과 잘 어울리더라는...

 

 

슈퍼스타 K2 존 박

<빗속에서>

 

 


 

슈퍼스타 K2 장재인

<가로수 그늘아래 서면>

 

 

 

  

결국 이번 미션의 탈락자로 앤드류 넬슨과 박보람이 선정되어

지켜보는 이들의 맘을 짠하게 만들었습니다.

모든 경쟁이 그렇듯 슈퍼스타 K2 또한 냉정하다는 사실은 틀림없겠죠.

 

관심을 모으고 있는 장재인과 존박을 비롯,

TOP을 향해 달려가는 남은 6명의 또다른 미션이 무었일지 궁금해지는군요

출처 : ♣여드름과 다이어트의 모든 것♣
글쓴이 : 피부미인 원글보기
메모 : ^^

 

한 국 화

       산 수 화

     수묵담채화1

    수묵담채화2

     민    화

        작품보기 

             한국화

 http://my.netian.com/~sulzee/water/sub_23.htm     

 http://dong-gu.ms.kr/sun/art/index.htm    

     우리 조상들의 얼과 정신이 담긴 그림이다

     정신적이고 상징적인 표현이다

     선과 여백을 중시한다

     먹의 농담효과를 살려 표현한다

     먹선의 굵기,속도,강약등 운필의 표과를 표현한다.

            동양화

중국에서 발생하여 중국,우리나라,일본등에서 그려진그림

남종화   수묵위주,주관적,상징적     시조는 당나라의 왕유       주로 몰골법을 사용     수묵화의 표현

북종화   채색위주,객관적,사실적     시조는 당나라의 이사훈    주로 구륵법을 사용     진채화의 표현

       표현상의 분류

수묵화  먹의 농담으로 그린 그림

수묵담채화   먹으로 그리고 먹선에 지장이없게 엷게 표현

진채화(농채화,채색화)  채색위주의 그림

    

                               

            수묵화                 수묵담채화                    진채화

             사군자

매난국죽을 그림 그림으로, 그 향기나 절개를 닮고자 하여 예로부터 문인사대부들이 많이 그려왔다

사군자를 그릴 때는 그림과 여백을 고려하여 주제를 배치하고 필력에 의해 생동감있게 표현한다

             민   화

조선시대 무명화가들의 그림 (서민적)

             문인화

문인사대부들이 취미로 그린 그림이다 시,서,화 3요소가 표현된다(시서화 3절)  주로 사군자를 즐겨 그렸다

       진경산수화

실제 경치를 보고 그린 산수화 조선 후기 겸재 정선이 처음으로 그린 그림

        한국화의

        표현기법

구륵법 윤곽선을 그리고 그안에 채색한다

몰골법 윤곽선을 그리지 않고 먹이나 채색으로 한붓에 그리는 기법

백묘법 선으로만 그리는 기법이다

운염법 먹이 번지는 효과를 살려 그린다(구름,안개)

갈필법 붓에 물기를 빼고 거칠게 표현한다

                              

                  구륵법                          몰골법                       백묘법

            삼원법

중국의 '곽희'에 의해 정립된 원근법

고원법: 산아래서 정상을 올려다 본 시점 자연의 위압감이나 웅대함을 표현한다

심원법: 산정상에서 아래를 내려다 본 시점  무한한 깊이감을 느낄 수 있다

평원법: 일반적인 평행한 시점 자연의 광활함을 표현한다

            삼묵법

담묵 : 먼 곳이나 약하게 표현할 때 사용

중묵 : 자연스러운 농담의 변화를 줄 때 사용

농묵 : 가까운 곳이나 힘 있고 강하게 표현할 때 사용

      삼묵참고작품

            

      한국화의 분류

산수화: 자연경치를 소재로 함

인물화: 초상화,신선도,탱화등 사림이 주제

화조화: 꽃과 새를 소재로 함

화훼화: 꽃,벌,나비를 소재로 함

어해화: 물고기류를 소재로 함 (잉어,새우,거북등)

초충도: 풀과 벌레를 소재로 함 (신사임당)

영모화: 털달린 새나 짐승을 소재로 함(호랑이등)

풍속화: 그 시대의 생활모습을 그림 (김홍도) 기명절지화: 그릇,꽃가지등을 그린 정물그림

 

 

 

   한국화의 분류별  

       참고작품

 

 

 

 

                                         

            인물화                풍속화                  산수화                 영모도                초충도 

 

                                         

              문인화                화훼화                 어해화               화조화             기명절지화

                                                                    

      수묵화

 

  수묵화와 채색화

채색을 쓰지 않고 먹만으로 그리는 동양화 고유의 회화(繪畵)양식. 문인화(文人畵)의 대종(大宗)을 이루며 기법에 따라 크게 농묵(濃墨)·담묵(淡墨)·발묵(潑墨)·파묵(破墨) 등으로 나뉜다. 수묵화는 특히 현란한 채색을 피하고 먹의 정신성(精神性)을 구현하기에 적합한 양식으로, 예로부터 많은 문인과 선비들이 즐겨 그렸다. 동양인의 미의식과 사의(寫意)를 반영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알려져 왔다.
문인과 선비는 교양과 여기(餘技)의 한 방편으로
수묵화를 자주 그렸으며, 화원(畵院)에서의 그림과 같은 본격적이고 직업적인 회화로서보다는 시(詩)·서(書)를 일치, 조화시켜 문기(文氣) 짙은 화면을 이루어 내기 위하여 수묵화를 자주 그렸던 것이다. 그리하여 문인화의 비조(鼻祖)라 할 수 있는 시백(詩伯) 왕유(王維) 같은 이는 그의 《화학비결(畵學訣)》 이라는 화론서(畵論書)에서 ‘화도지중 수묵 최위상(畵道之中 水墨最爲上)’이라 하여 이론적으로 수묵화를 옹호하기도 하였다. 먹은 본시 단일색이지만 고래로 중국인들은 먹색이 모든 색을 다 함유한 것으로 받아들였고, 질료적(質料的) 성격으로 파악하기보다는 정신성이 강한 재료로 생각하였다. 그러므로 먹만을 써서 그리는 수묵화는 채색화가 지닐 수 없는 담담한 맛과 운치를 구현하기에 좋은 양식이었던 것이다

     수묵화의기법

수묵화의 기법은 크게 발묵·파묵·농묵·담묵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발묵기법은 주로 종이 위에 먹이 번져 퍼지는 효과를 얻는 방법으로 농묵이 담묵이나 물기를 따라 삼투압현상을 일으켜 번져가는 변화를 이용하는 것이다. 파묵기법은 담묵으로 윤곽이나 용적 밑을 일차적으로 칠하고 그 뒤에 차차 농묵으로 덮어 습하듯이 하며 왕왕 초묵(焦墨)으로 그 윤곽선을 깨뜨리거나 한계를 분명히 하는 기법이다. 농묵기법은 먹을 진하게 갈아서 그리는 기법이며 담묵기법은 보다 흐리고 습하게 운필하는 기법으로서 물기와 먹이 번져 어울리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기법이다. 이 외에 먹을 농담으로 순차적으로 쌓아 가듯이 그리는 적묵법(積墨法) 등도 있다.

    수묵화의 역사

수묵화의 발생은 당(唐)나라 때부터이며 남종문인화(南宗文人畵)와 더불어 발달하였다. 수묵화는 종래의 선묘(線描)에 의한 윤곽 위주로 그리는 관습을 깨고 먹의 농담 변화와 효과에 의해 질량과 암영을 나타내는 획기적인 변화이다. 특히 왕유(王維)에 의해 시작된 사의적(寫意的)이고 시취적(詩趣的)인 남종문인화는 거의 수묵 위주이므로 한층 더 수묵화가 발달하였다. 원래 남종화는 중국 남방의 산자수명(山紫水明)한 양쯔강[揚子江] 유역에서 발생한 문인(文人)·고사(高士)의 그림이지만 점차 지역적 의미를 떠나서, 이사훈(李思訓)류의 사실적(寫實的)이고 장식적이며 유교의 현실주의 및 불교의 북종(北宗)과 그 원류를 같이 하는 그림양식과 대칭적인 개념으로 사용되었다.
당대(唐代)의
수묵화는 그 성격이 한마디로 조방일격(粗放逸格)한 묘사정신으로 구축된 것이었으며 후에 중국 수묵화의 향방(向方)을 어느 정도 결정하였는데, 주로 대상의 간명직절(簡明直截)한 표현에 주안을 두고 있다. 이런 의식을 가장 극명하게 드러낸 작가는 중당(中唐) 때의 왕묵(王墨:王默)이다. 그의 그림은 한 마디로 수묵의 정신을 극대화시킨 것이라 할 수 있다. 《당조명화록(唐朝名畵錄)》 등이 전하는 그의 화풍은 형식주의를 벗어나 탈속(脫俗)의 경지를 구가하는 것으로, 제작태도 또한 표일분방(飄逸奔放)하였다. 그리하여 중당 후반 강남의 항용(項容) 천태처사(天台處士) 고황(顧況) 등에 의해 수묵화의 화풍이 어느 정도 정립되었다. 이 발흥기에 강남 오군(吳郡) 등지에서는 독필(禿筆:몽당붓)로 양손에 두 붓을 쥐고 그리는 기묘한 묘사법이 나왔다.
만당(晩唐)에 이르면 왕묵이나 항용(項容)류의 다소 광태적(狂態的)인
수묵화는 점차 온건하게 자리를 잡아가는데 오대(五代)를 거쳐 송대(宋代)에 이르면서 소동파(蘇東坡) 등에 의해 문인화론의 이론적 성립을 보게 되면서 동양적인 독특한 회화 표현양식으로서 더욱 각광을 받게 되었다. 또한 곽희(郭熙)의 《임천고치(林川高致)》 등의 화론(畵論)에 의해 수묵산수화의 이론적 뒷받침을 받으면서 이·곽파(李郭派) 등의 화풍이 유행하였고, 미불·미우인(米友仁) 부자(父子) 등에 의해 수묵산수의 새로운 양식이 싹텄다. 그 후 원(元)·명(明)·청(淸)나라 때에 이르면서 왕유 이래 지금까지 수묵화는 시·서·화 일치(詩書畵一致)사상과 결합되면서 많은 걸출한 화가를 배출시켰다.
한국에서는 주로 남종문인화의 수용과정을 통해
수묵화가 발달하였다. 통일신라시대의 수묵화는 남아 있는 것이 거의 없어 체계적인 파악이 불가능하며, 고려시대에 이르러 실용적 기능을 지닌 작품들뿐만 아니라 여기와 감상대상이 되는 작품 등이 있다.

 

출처 : 삶의 의미를 찾아서
글쓴이 : 억스 원글보기
메모 :

'그림이야기 > 그림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동양화 특징  (0) 2011.01.03
서예 용어  (0) 2010.08.13
한국화 용어  (0) 2010.08.13
-사군자의 산수화에 대하여  (0) 2010.06.16
한국화(동양화)의 기법  (1) 2010.06.16

제빵왕 김탁구 OST

그사람 이승철

 

 " 탁구를 잘해가 김탁구가 아이고,

높을 탁(卓) 구할 구(求)자를 써가 김탁굽니더.."

 

제빵왕 김탁구 

 

오..드뎌 유진이랑 준혁학생이 키스하는겨?

요즘들어 빠지지 않고 챙겨보는 드라마..

정말 공부한다고 TV 없앴는데, 또 인터넷으로 다시 보기 하고 있다는..

오늘은 부랴부랴 들어와서 닥본사했다는

다시 TV 사야겠다..

인터넷으로 보려니 화면이 너무 구려~

 

오늘 이 키스장면이 나올 때 나오던 노래..

이승철의 그사람

느낌 조타..

우수블로그 되면서 공짜 배경 음악 30곡 받았으니 이럴때 요긴하게 쓰는구나

바로 다음 뮤직에서 찾아봤다.

 

 

 

이승철 - 그 사람 | 음악을 들으려면 원본보기를 클릭해 주세요.

 

제빵왕 김탁구 OST Part 3

 

(이건 퍼가기용 음악듣기)


그 사람 - 이승철

그 사람 날 웃게 한 사람
그 사람 날 울게 한 사람
그 사람 따뜻한 입술로 내게
내 심장을 찾아준 사람

그 사랑 지울 수 없는데
그 사랑 잊을 수 없는데
그 사람 내 숨 같은 사람
그런 사람이 떠나가네요.

그 사람아 사랑아 아픈 가슴아
아무것도 모른 사람아.
사랑했고 또 사랑해서
보낼 수 밖에 없는 사람아.. 내 사랑아

내 가슴 너덜 거린데도
그 추억 날을 세워 찔러도
그 사람 흘릴 눈물이
나를 더욱더 아프게 하네요

그 사람아 사랑아 아픈 가슴아
아무것도 모르는 사람아
눈물 대신 슬픔 대신
나를 잊고 행복하게 살아줘...내 사랑아

우리삶이 다해서 우리 두눈 감을때 그때 한번 기억해

그 사람아 사랑아 아픈 가슴아
아무것도 모른 사람아.
사랑했고 또 사랑해서
보낼 수 밖에 없는 사람아..

내 사랑아 내 사랑아 내 사랑아

가사 출처 : Daum뮤직

 

 

 

보니깐 제빵왕 김탁구 OST는 현재 Part 3까지 모두 3곡

개인적으로 오늘 키스씬 때문인지

이승철의 그사람이 제일 좋타..

 

 

 
제빵왕 김탁구 OST part 2  죽도록 사랑해 - KCM

 
 
제빵왕 김탁구 OST part 1 하루의 끝에 - VOS
 
 

 

 

 

 

구마준

 

 

김미순 양미순

앗 수정..: 김미순이 아니라 양미순이라예..김미순은 탁구 엄마..

 

김탁구

 

신유경

 

 

출처 : Eden의 배낭기
글쓴이 : Eden 원글보기
메모 :

鼯鼠五能(오서오능)

 

여러 가지를 조금씩 잘하는 것은 한 가지에 집중하느니만 못하다.

날다람쥐는 다섯 가지 재주가 있어도 기술을 이루지는 못한다.


“顔氏家訓(안씨가훈)에 인용된 말이다. 공영달은 이렇게 풀이한다.

 

“날 줄 알지만 지붕은 못 넘고, 나무를 올라도 타넘지는 못한다. 

수영은 해도 골짜기는 못 건너고 굴을 파지만 제 몸은 못 감춘다.

달릴 줄 알아도 사람을 앞지를 수는 없다.

 

오서오능 즉 날다람쥐의 다섯 가지는 이것저것 하기는 해도 뭐

하나 제대로 하는 것이 없다는 뜻으로 쓰는 말이다. 팔방미인과

비슷하다.

螻蛄才(누고재)란 말도 쓴다. 누고는 땅강아지다.

땅강아지도 날다람쥐의 다섯 가지 재주를 갖추었다. 제법 날줄도

알고 타오르기도 하며 건너가고 땅을 파고 달려가는 재주가 있다.

그런데 요놈도 다 시원찮다. 재주를 갖추었으나 미숙한 상태를

가리킬 때 쓴다.

“ 말을 많이 하지 말라. 말이 많으면 낭패가 많다.

일을 많이 버러지 말라. 일이 많으면 근심이 많다.“ 공자가어에 나온다.

 

이런 말도 했다. “잘 달리는 놈은 날개를 뺏고 잘 나는 것은 발가락을

줄이며, 뿔이 있는 녀석은 윗니가 없고 뒷다리가 강한 것은 앞발이 없다.

하늘의 도리는 사물로 하여금 겸하게 하는 법이 없다.

 

 “발이 네 개인 짐승에게는 날개가 없다. 새는 날개가 달린 대신 발이

두 개요, 발가락이 세 개다. 소는 윗니가 없다. 토끼는 앞발이 시원찮다.

발 네 개에 날개까지 달리고 뿔에다 윗니까지 갖춘 동물은 세상에 없다.


공부면 공부, 운동이면 운동 못하는 게 없다. 모두들 선망하는 부러움의

대상이다. 하지만

다재다능도 전공이 있어야지 오지랖만 넓어 이것저것

집적대면 마침내 큰일은 이룰 수 가 없다.

두루춘풍으로 못하는 게 없어 하는 소리를 듣는 것은 무능하다는 말과 같다.

이것저것 잘하는 팔방미인보다 한 분야를 제대로 하는 역량이 더 나은

대접을 받는 시대다.

 

大道無門 이라 했다. 한 문으로 들어가 깊이 파면 모든 문이 열린다.

공연히 여기저기 기웃대기만 해서는 끝내 아무것도 이룰 수가 없다.

균형 잡힌 안목으로 핵심역량을 길러야 한다.

깊게 파야 가뭄에도 마르지 않는 우물을 얻는다.

바야흐로 전문가 시대란 말씀

글 : 정민의(한양대 교수. 고전문학) 

Get Microsoft Silverlight

.

17일 MC몽이 생니를 뽑아 병역면제를 받은 혐의로 불구속 기소된 소식이 전해지자 네티즌들은 지난 2008년 방송된 SBS '놀라운 대회 스타킹'에 등장했던 아기무당에 관심을 높이고 있다.

당시 방송에는 아기 무당이 출연해 출연자 MC몽에게 "지금 많이 힘들어한다"며 "용서해야 할 것이 많다. (용서를)많이 빌어야 한다"고 예언했다.

무당은 이어 "사람들한테 잘못한 게 많다. 특히 가족에게"라고 힘주어 말해 분위기를 숙연하게 했다.

무거워진 분위기에 MC몽은 "엄마랑 어제 싸웠다"라며 "죽을죄를 지은 건 아니잖아요"라고 억울해 하자 무당은 "죽을죄를 지었다"고 단정지었다.

분명하게 맞아 떨어진 아기무당이 예언에 네티즌들은 당 해당 방송을 검색하며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일부 누리꾼들은 "죄를 지은 MC몽의 마음도 편하지는 않았을 것" "정말 믿어왔던 방송인인데 실망이다" "아기무당의 말처럼 용서를 구해야한다" 등의 반응을 보이고 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