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화(동양화)의 기법

 

1) 먹의 사용법 

   ① 발묵법 : 번져 가는 먹색, 먹물을 퍼지게 해서 한 붓으로 대상을 표현하는 방법

   ② 퇴묵법 : 붓을 사용한 후 마지막으로 나오는 먹색을 이용하는 방법
   ③ 적묵법 : 옅은 색의 먹으로 먼저 그리고 나서 완전히 마르고 난 다음 좀더 짙은 먹으

                        로 덧칠한 방법

   ④ 운염법 : 먹의 농담이 나타나도록 표현하는 기법

   ※ 삼묵법(三墨法) - 농ㆍ중ㆍ담의 세 가지 먹색이 갖추어진 붓으로 그리는 방법

        선염법(渲染法) - 서서히 퍼지게 하는 방법 

        찰염법(擦染法) - 문질러 퍼지게 하는 방법

 

2) 준법(산수화 기법) - 바위나 산의 표현 기법

  ① 유엽준 : 버들잎처럼 허리가 굵은 선(인물화에서 주로 사용되는 묘법)
  ② 피마준 : 삼을 펼쳐서 훑은 것과 같은 준으로 돌이나 산, 요철을 표현할 때 사용
  ③ 우점준 : 빗방울 모양의 점묘
  ④ 부벽준 : 도끼로 찍은 흔적 모양의 점묘
  ⑤ 하엽준 : 연잎 줄기 같은 긴 선으로 차분하고 유연한 느낌을 줌
  ⑥ 절대준 : 가로 긋는 쇠털 모양으로 'ㄱ'자와 비슷
  ⑦ 마아준 : 말의 이빨 모양


 

3) 필법(선의 기법)

  ① 갈필법 : 붓에 물을 적게 해서 거칠게 그어진 선
  ② 파필법 : 붓끝이 여러 갈래로 벌어진 붓으로 그린 선
  ③ 편필법 : 넓적한 붓으로 그린 선(붓끝을 앞으로 해서 사용)
  ④ 독필법 : 붓끝은 잘라 모가나게 한 붓으로 그린 선
  ⑤ 백묘법 : 선으로만 표현하는 기법

  ⑥ 구륵법 : 윤곽선으로 그린 다음 그 안에 채색하는 기법

  ⑦ 몰골법 : 윤곽선이 없이 한 붓에 표현하는 기법

 

준법통틀어서...
산이나 흙더미 등의 입체감·양감을 표현하기 위한 일종의 동양적 음영법(陰影法)이다. 중국에서는 진(秦)·한(漢)시대의 산악도(山岳圖)에서 그 원시적 형태를 볼 수 있으나 거의가 비사실적·관념적이다. 그 후 산수화의 발전과 함께 각종 준법이 나타나 형식화되어 특정한 명칭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부벽준
산수화에서 도끼로 찍은 듯한 자국을 남겨 표현하는 동양화 준법.



피마준(披麻)은 삼[麻]의 껍질을 벗긴 것 같은 주름이라는 뜻으로 동원(董源)이 시작하였으며, 주로 남종화(南宗畵)에서 사용된 선적(線的)인 주름이다. 해색준(解索) ·난마준(亂麻) ·지마준(芝麻) ·우모준(牛毛) ·하엽준(荷葉) 등은 이 계통에 속한다. 이에 비하여 부벽준(斧劈)은 도끼로 쪼갠 면과 같은 주름으로 면적(面的)인 성격이 강하며, 북종화(北宗畵)에서 많이 사용되었다.



여기에는 대소(大小)의 2종이 있으며, 대부벽준은 이사훈(李思訓), 소부벽준은 이당(李塘)이 시작하였다. 이 밖에도 우점준(雨點)은 왕유(王維)가 시작하였고, 동원·거연(巨然) 등이 사용한 뒤, 미불(米)이 완성한 것이다. 미불의 것은미점(米點)으로 불리며 가로찍은 점[橫點]이지만, 이리발정준(泥裏拔釘)이라고 일컫는 것은 세로찍은 점[竪點]이다

 

우점준은수묵 산수화에서 사용되는 준법의 하나. 지마준(芝麻峻 ) 혹은 호마준(胡麻 峻)이라고도 한다. 세로로 가는 붓자국을 밀집시켜 바위나 산을 묘사한 것이 비오는 모습과 닮았다하여 붙여진 이름이다.아주 작은 타원형으로 찍혀진 붓자국이 빗방울같이 생긴 준이다. 산의 밑부분에서는 크게 나타내며 위로 올라갈 수로 작게 한다. 이 준법으로 황토 절벽을 즐겨 그렸던 북송 초기 산수화가 범관(范寬)이 창시하였다. 미후, 미우인(米友仁)의 소위 미점준법과는 약간 다르다.

하엽준
연잎 줄기와 같이 생긴 준으로 산봉우리에 주로 사용된다. 물이 흘러내려 고랑이 생긴 산비탈 같은 효과를 내며 조맹부가 창안한 후 남종화가들이 종종 사용하였다.
연잎의 잎맥처럼 선을 상하로 사용하여,솟아오른 바위의 형세를 나타내는 준법이다.
'준'이라는 것은 수묵화의 '필법'이며 김홍도는 근경의 산과 원경의 산을 특유의 '하엽준법'을 사용하여 잘 묘사하였다고 한다.




동양화의 원급법
중국 북송의 산수 화가이던 곽희의 임천고지 라는 책에 산수화에 있어서 대상의
원근감과 공간감을 나타내는 구도법으로 고원법, 평원법, 심원법의 삼원법을 말하
고 있다.

고원법 ; 눈높이를 화면의 아래에 두고 산 밑에서 산의 정상을 올려다 본 것처럼
그리는 것으로 자연의 웅대함을 표현할 때 많이 쓰인다.

심원법 : 눈높이를 화면의 중앙에 두고 자연스럽게 앞을 바라다 보았을 때의 모
습으로 자연이나 산의 무한한 깊이를 표현하는 그림에 적합하다.

평원법 : 눈높이를 화면 위쪽에 두어 아래를 굽어보는 시점으로 자연의 광활함
이나 아득한 수평의 산수화를 그리기에 적합하다.

투시도법
투사도법(透射圖法)이라고도 한다. 1정점(定點)을 시점으로 하여, 지구의 경위선(經緯線)을 평면 또는 가전면(可展面)을 화면(畵面)으로 하여 투영한 것이다. 즉 지구의 중심, 지구상의 1점, 또는 지구 외의 1점을 시점으로 하여, 지구상의 경위선을 외접원추면(外接圓錐面) ·외접원통면(外接圓筒面), 또는 지구상의 1점에서 이에 접하는 평면상에 투영하는 도법의 총칭이다.

'그림이야기 > 그림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화 용어  (0) 2010.08.13
-사군자의 산수화에 대하여  (0) 2010.06.16
오방색이야기  (0) 2010.06.16
한국화와동양화  (0) 2010.06.16
그림호수  (0) 2010.06.1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