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야생화 앞치마
장미 앞치마
목단 앞치마
매화 앞치마
능소화 (소형커텐)
7. 맺음말
7. 맺음말
실경산수화는 관념산수화의 대개념으로, 우리나라 산수 경치의 자연미를 우리의 시각과 우리의 화법으로 표현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조선후기 겸재 정선에 의해 창시된 진경산수화는, 실경(實景)에서 읽어낸 이치와 감동을 화가의 마음속 의경(意境)으로 승화시켜 그려낸 그림이다. 곧 산수에서 아름다운 형상만을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산수의 도(道)와 정신을 아울러 바라보는 태도인 것이다. 진경산수 화풍은 겸재 정선의 다음 세대인 현재 심사정, 능호관 이인상, 표암 강세황 같은 개성적인 문인화가들에게 이어지고, 단원 김홍도에 의해 더욱 세련된 화풍으로 다듬어진다. 실경산수화의 이러한 전통과 예술적 성과는 오늘날에도 한국미술사의 자랑거리로 남아있다.
옛 화가들이 자연 산천을 유람하고, 시를 읊고, 그림을 그리고자 했던 까닭이 무엇이었을까? 거기에는 아름다운 산천을 즐기고자 했던 것이, 어쩌면 그 안에는 임천을 그리워하는 뭇 사람의 마음이 깃들어 있었을지 모른다. 흔히들 산에서 노닐다 오면 산의 기를 받아 몸에도 기운이 솟구친다고 한다. 이렇듯 연구자는 자연에 대한 그리움을 화폭에 담아 감상자로 하여금 산천에 들어와 있는 듯이 마음의 편안함을 느끼게 하고 싶다. 마치 한 곡의 멋진 음악을 듣고 기분전환이 되어 행복감이 생기듯이 말이다. 이런 그림이 되도록 하려면 현장 사생을 통해 생동감 있는 표현이 되도록 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했다. 이러한 마음을 화폭에 충실히 담기 위해 그 자연의 이치, 화육(化育)의 이치를 연구하고 현장의 특색에 맞는 준법을 탐구해 내고자 했다. 선대의 화가들이 각 주변 산천에 맞는 준법을 창안하였음은, 또 오늘날의 화가들이 그것을 본받아 따름은 이러한 바이다.
산수화의 준법(皴法), 곧 추상화된 표현법의 연구를 시작하고 보니, 연구자가 종전에 사용하던 방법대로 풍경 사진의 이미지를 묘사하는 수법이 얼마나 실질에 부합되지 않는지를 알게 되었다. 카메라로 찍은 사진 이미지가 곧 바로 ‘객관적 사실’을 담보하는 줄로 알았었지만, 그것은 다만 왜곡된 착시현상에 불과할 뿐, 결코 체험으로 받아들인 감동이나 박진감이 거기에는 들어있지 않았다. 여기에서 표현법의 한계를 스스로 느끼게 되었다. 다시 말해, 오늘날의 산수화가 도리어 조선후기 진경산수에 비해 퇴행적이고 진부한 느낌을 주는 게 아닌가 싶었다, 대상물의 겉모습만 묘사하여 생동감을 드러내지 못하는 것에 대한 아쉬움을 풀고자 한 것이 이 연구로 이어졌다.
전통의 화법을 참고하는 대신 기존의 투시 원근법과 명암법에 대한 집착을 버리면서, 현대성이 멀리 있지 않음을, 어쩌면 옛것 또한 어떤 의미로는 현대적인 것이라는 것을 깨달을 수 있었다. 또, 안에서는 고법을 연구하고, 바깥으로는 미개척의 새로운 준법을 연구하며 그 앎을 현실로 옮기고자 현장 사생에 임하였다. 가는 곳마다 암석의 특징을 관찰하고 준의 형태를 떠올렸다. 그리고 그것을 이른바 점, 선, 면의 추상 요소로 환원하여, 현지의 형세에 들어맞는 또 다른 형태의 준법을 골라내보고자 하였다.
이렇듯 실경을 추상적으로 해석해내는 것이 결코 쉬운 일은 아니었다. 그러나 그러한 연구 과정에서 처음의 의문에 대한 해답을 얻을 수 있었다는 점에서, 설령 아직 여러 준법을 충분히 개척하지는 못했다 할지라도, 이러한 노력은 그 자체로 보람이 있었다. 짧은 기간 동안의 연구에서 한계를 느끼기도 하였지만, 연구자는 이 주제를 통해 실경산수화의 의의를 한층 더 깊게 이해할 수 있었다. 무엇보다도 현장에서 느끼는 감동을 표현하는 데 중점을 두었고, 같은 장소라도 자연과 마주할 때마다 감동이 또한 다르게 찾아오는 것에 의미를 두었다.
연구의 시작 시점보다 더 많은 과제를 한 아름 안고 있는 게 아닌가 싶다. 현장 사생에서 성과를 얻지 못한 때도 많았고, 좋지 못한 기상 여건과 같은 외부적 요인으로 인해 곤란을 겪은 적도 있었다. 다만 누군가 말했듯이 잃는 것이 없으면 얻는 것도 없었을 것이다. 자연과의 승부, 대체로 사람의 일이 그렇듯 십중팔구 마음먹은 대로 되지만은 않아도, 현장 사생에는 그러한 역경마저 즐기게 만드는 그 무엇이 있다. 자연과의 교감에서 오는 편안한 마음의 휴식을 누리고 돌아오기 때문이다. 그러한 자연 환경들, 시시각각 변하는 날씨와 부지불식간에 변하는 풍경들, 그런 것들이 살아있는 자연의 모습이 아니겠는가. 그렇게 자연이 살아있기에 이른바 삼라만상, 아름다운 산수 자연의 다양한 모습을 화폭 속에 담아낼 수 있게 될 마련이 아니겠는가.
작품 10
작품 10
작품 10. <인왕산의 가을>, 74.5×48.0cm, 한지에 수묵담채, 2017.
인왕산은 산 전체가 화강암으로 되어 있고 돔 형태로 암반이 노출된 것이 특징이다. 인왕산에는 타포니 43)
가 발달한 토르44)가 많다. 겸재 정선의 인왕제색도는 1751년에 제작된 그림으로 국보 제216호이다. 적묵법을 사용하여 바위 봉우리를 한여름의 비에 흠뻑 젖은 모습으로 표현한 천하의 명작이다. 그림의 구도는 상단 주봉을 중심으로 좌우 날개를 펼치듯이 주봉 왼편의 범바위부터 오른편 기차바위까지 화면을 가득 채운 수평구도이다. 실경과 비교해볼 때, 축경법(縮景法)으로 좌우를 압축하여 주봉과 산경이 더욱 가까워져 보이게 처리했다. 바위 봉우리의 표현법은 북종화법인 절파풍의 부벽준법을 자가 스타일로 익혀낸 개성적인 화법이다. 산등성이는 듬성한 중간 먹으로 피마준법이나 태점(苔點) 같은 남종산수화풍을 써서 적묵법과 적절히 조화시켰다. 45)
이 그림은 겸재 정선이 바라본 시점에 가까이 가서 살펴보고 그렸다. 북촌 전망대에서 바라본 인왕산 바위는 둥글둥글하고 매끈하게 보였다. 화강암의 쪼개진 부분을 선으로 표현하고 늦은 가을 나무들의 모습은 점으로 표현하여 대비감을 주었다. 듬직하고 튼튼해 보이는 암산이 마치 우리나라를 그렇게 지켜주는 것처럼 보였다. 멀리 보이는 산과 동네 사이에 공간을 주어 산의 기상을 더 높여 주고자 하였다.
43)daum.net 백과사전 참고: 타포니는 암석이 물리적·화학적 풍화작용을 받은 결과 암석의 표면에 형성되는 요형(凹型)의 미지형을 풍화혈이라고 하는데, 타포니는 풍화혈 중에서도 특히 암석의 측면(암벽)에 벌집처럼 집단적으로 파인 구멍을 가리키는 말이다.
44) daum.net 백과사전 참고: 토르(Tor)는 풍화 작용에 따라 기반암과 떨어져 그 위에 있는 암괴를 말한다. 토르는 풍화에 약한 암석이나 절리가 많은 암석에 잘 나타나는데, 화강암은 암석 중에서 수직, 수평 절리가 가장 잘 발달하는 암석이다. 모서리 부분이 풍화된 토양이 씻겨지고 나면 동글동글한 핵석만 석탑처럼 쌓이게 되는데, 이것을 가리켜 토르라고 한다.
45)이태호, 『서울산수』, 월간미술, 1996. pp.46,48
작품 9
작품 9
지질학적 관점으로 보면 사인암은 석회암 지대에 관입한 화강암이 하천의 반석 위에 세워진 병풍 모양의 수직절리 면을 드러내고 있다.40) daum.net. 백과사전 참고: 사인암
커다란 상자를 층층이 쌓아놓은 듯이 수직절리와 수평절리가 아주 잘 발달되어 있다. 색깔마저 다양하여 마치 자연 속에 커다란 빌딩이 솟아 있는 듯한 모습이다. 이렇듯 아름답고 신비스러운 경관을 지닌 사인암은 예부터 많은 시인묵객들이 찾아들어 시화의 주제로 삼고 아끼던 명승지이다. 능호관 이인상과 단릉丹陵 이윤영(李胤永, 1714~1759), 정부(定夫) 김종수(金鍾秀, 1728~1799) 같은 화가들이 남긴 시구(詩句)가 절리 면에 새겨져있기도 하다.
繩直準平 (승직준평) 뻗어오른 것은 곧고 수평은 반듯한데
玉色金聲 (옥색금성) 옥빛에 금 같은 소리 어리어 있네.
仰之彌高 (앙지미고) 우러러보니 아득히 높아
魏乎無名 (외호무명) 우뚝할 손 비할 데 없구나.
辛未春 胤之 定夫 元靈 撰
신미년(영조27년 1751) 봄 윤지 이윤영, 정부 김종수, 원령 이인상이 짓다.41) 유홍준, 『화인열전2』, 역사비평사, 2001. p.107
이윤영 또한 단정한 전서체로 자신이 단양에 은둔한 뜻을 주역의 '택풍대과(澤風大過)' 에 나오는 구절을 빌려 다음과 같이 새겨놓았다.
獨立不懼 (독립불구) 홀로 서니 두려운 것이 없고
遯世無悶 (둔세무민) 세상을 은둔하니 근심이 없다.
작품 9. <사인암>, 44.0×58.5cm, 한지에 수묵담채, 2017.
단원 김홍도가 사인암을 그리려 찾아왔지만 10일 동안 노심초사했다는 기록이 전하기도 한다.42) daum.net. 백과사전 참고: 시인묵객이 시화로 예찬한 사인암
오늘날에도 많은 관광객들이 찾는 곳이다. 깎아지른 듯한 바위가 하늘을 향에 뻗어있고 암벽 정수리에 있는 소나무는 단원 김홍도의 그림에서도 확인된다. 긴 세월의 자연의 모습에 비해 우리 인간은 짧은 순간의 삶을 살고 있는 것 같다. 이 그림에서는 암벽의 층리와 그 우뚝 솟은 괴량감을 선명하게 그려내고자 하였다. 옥색과 같이 맑은 시냇물의 속삭임도 나의 눈길을 끌었다.
작품 8
작품 8
작품 8. <도담삼봉>, 78.0×53.0cm, 한지에 수묵담채, 2017.
도담삼봉은 단양팔경 중에 가장 많이 알려진 곳이다. 맑은 물이 굽이쳐 흐르는 강 한가운데 우뚝 솟은 세 바위 봉우리는 처음 보는 순간 눈이 둥그레질 정도로 신기한 느낌을 주었다. 영월로부터 흘러오는 물길 속에 솟아오른 도담삼봉은 석회암 카르스트 지형이 만들어낸 원추 모양의 기암이다.39) 현재 도담삼봉의 수위는 우리들의 삶의 편리를 위해 자연의 아름다운 자태를 희생한 충주댐 조성으로 예전보다 수위가 많이 높아진 상태라고 한다. 구도에서는 삼봉에 중심을 두었고 세 봉우리들이 오른쪽을 향해 가고 있는 느낌을 받아 우측 공간을 더 넓게 하였다. 좌측의 먼 산들은 연하게 하여 전체적인 답답함을 없애고 아득히 먼 공간의 느낌을 주었다.
39)daum.net. 백과사전 참고: 도담삼봉
작품 7
작품 7
단양의 명소 옥순봉은 마치 죽순처럼 불쑥 하늘로 솟구친 바위기둥들이 늘어선 모습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수직으로 솟아오른 절벽 역시 중생대에 관입한 대보화강암인 월악산화강암이 지표로 노출된 것이다. 수직절리는 땅속의 마그마의
작품 7. <옥순봉>, 45.0×29.5cm, 한지에 수묵담채, 2017.
열기가 식을 때 각 부분의 온도 차이가 만들어낸 틈새가 지표로 드러난 것이다. 그 후에도 침식작용과 풍화작용이 계속되어 이처럼 아름다운 풍광을 이루어내었다. 충주댐이 건설되기 전에는 아래에 백사장이 있었다고 하니 더욱 빼어난 경치였을 것으로 짐작된다. 물에 잠기지 않았을 때 단원 김홍도가 그린 그림과 지금의 모습이 많이 다름을 알 수 있다. 학산(鶴山) 윤제홍(尹濟弘,1764~?)이 지두화(指頭畵)로 그린 옥순봉도는 정자가 놓여있어서 더욱 운치가 있다. 옛 모습을 실경에서 다시 볼 수 없으니 아쉬운 마음을 금할 길이 없다.